첫 월급을 받기 시작한 사회초년생에게 금융 지식은 재테크의 출발점입니다. 하지만 어렵게 느껴지는 금융 용어 때문에 시작을 망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사회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 30가지를 간단하고 쉽게 정리했습니다.
1. 예금·적금 관련 용어
- 예금: 목돈을 한 번에 은행에 맡기고 이자를 받는 상품
- 적금: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해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받는 상품
- 정기예금: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묶어두고 만기 시 이자 수령
- 정기적금: 매월 일정 금액 납입 후 만기 이자 수령
- CMA: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종합자산관리계좌
2. 대출 관련 용어
- 원리금균등상환: 원금+이자를 매달 동일 금액으로 상환
- 원금균등상환: 원금을 일정하게 나누어 갚고 이자는 점점 줄어드는 방식
- 마이너스 통장: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인출하는 신용대출
- DSR: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, 소득 대비 대출 상환 부담 지표
- LTV: 담보인정비율, 집값 대비 대출 가능한 비율
3. 신용 관리 용어
- 신용점수: 개인의 금융 신뢰도를 평가하는 점수 (1~1000점)
- 연체: 대출·카드 결제를 제때 갚지 못한 상태
- 신용등급: 신용점수를 등급화한 구간(2021년 이후 점수제로 전환)
- CB사: 신용평가사 (KCB, NICE 등)
- 리볼빙: 신용카드 대금 일부만 갚고 나머지를 이월하는 제도 (이자 부담 큼)
4. 투자 기초 용어
- 주식: 기업의 지분을 소유하는 증권
- ETF: 여러 주식을 묶어 만든 인덱스 펀드
- 펀드: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전문가가 운용하는 금융상품
- 채권: 기업이나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권
- 분산투자: 자산을 나누어 위험을 줄이는 투자 전략
5. 절세 & 세금 용어
- 소득공제: 과세 대상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제도
- 세액공제: 납부해야 할 세금에서 직접 공제
- 연말정산: 1년 동안 낸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
- 주택청약: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저축 제도
- 비과세 상품: 발생 이자나 배당소득에 세금을 매기지 않는 금융상품
6. 기타 금융 생활 용어
- 자동이체: 일정 날짜에 은행이 자동으로 출금해 납부
- 비상금 대출: 소액 긴급 대출 상품, 사회초년생이 많이 활용
- 핀테크: 금융 + IT 기술 융합 서비스 (토스, 카카오페이 등)
- 간편결제: 카드 정보를 등록해 앱으로 결제하는 서비스
- 마일리지·포인트: 소비액에 따라 쌓이는 혜택 점수
마무리
금융 용어는 어렵게만 보이지만, 기본 개념만 이해해도 재테크와 절세에 큰 도움이 됩니다. 사회초년생이라면 오늘 소개한 30가지 용어부터 익혀 두세요. 이것이 재무 설계와 자산 관리의 첫걸음입니다.